여시아문(如是我聞):이와같이 듣다

페르시아왕자와 신라공주의 사랑이야기

아지사리 2014. 3. 30. 11:59

 

페르시아 왕자와 신라 공주의 천년 사랑

 

 

페르시아와 신라 사이의 거리가 얼마인데 소설 같은 황당한 소리

하지만 사실을 증명하는 여러 근거가 잇어 실존하는 인물임을 확신한다

 

 

“역사에는 서기 650년, 이슬람 제국에 패해 멸망한 사산조

페르시아의 마지막 왕자 피루즈가 중국 당나라로 망명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듬해 당과 이슬람 제국이 외교 관계를 맺자 송환 위기에 처한

피루즈 왕자는 역사에서 자취를 감추는데 그의 새 망명지가 신라였을 가능성이다.”

 

페르시아군대의 사령관 ‘아비틴’이 신라(바실라)로 건너와 신라 왕 ‘태후르’의 딸 ‘프라랑’과 결혼해 아들을 낳고,

훗날 이 아들이 아랍의 폭군을 물리치고 이란인의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어머니의 나라 신라와 대를 이어 교류한다는 내용이다

*********

이는

최근 이희수 한양대 교수(문화인류학)가 우리말로 번역한

고대 페르시아 서사시 ‘쿠쉬나메’(청아출판사)에는 ‘페르시아 왕자와 신라 공주의 천년 사랑’이라는 부제가 달려있다.

 

소설 같다는 말이 나올 법도 하다. 이 교수가 수백 년간 구전돼 오다가 11세기에 필사된 페르시아 서사시 쿠쉬나메에 등장하는 지명 ‘바실라(Basilla)’가 신라라고 확신하는 근거이며

 

이 책이 고대 신라와 이슬람의 교류사에 얽힌 비밀을 밝혀줄 보고라는 사실을….”

 

 

이란의 마친 800페이지중에서 ... 4-500페이지가 신라이야기다

페르시아왕자와 신라공주의 사랑이야기 그 사랑이 난 왕자가 이란의 전설적인 여웅이되엇다는

 

70년대 석유파동이이 이엇고 이란국왕이 방문하고 그 서울에 테해란로

이란에도 가장 번화한 거리의 이름이 서울로이다 ...

 

우리나라에서 낙타를 타고 빨리가면 8개월 정도간다나

역사적 사실인가 신화적 사실이가는 좀더 연구가 있어야하지만

 

경주의 고분이 페르시아 유리등 많이 발견하였다는 것에 그 신라시대에서도 페르시아와 교류가 있엇다는 증명이다

 

신라의 옛 이름이 외국에서 불러지는 이름이 바신라...

친(중국) 이나 마친(중국의 주변국을 )

 

구시나메 .... 나메는 책이란듯이고 쿠시는 이란의 악인이며 폭정이며

즉 폭정인 쿠시를 물리친 여러 사례의내용

650 년 이란의 아비닐 왕이 멸망하면서 .... 왕자(아를 중국으로 동족으로 보내고

이담에 다시

 

 

mbc 방송국 11시 10분부터 방송하는 이재용과 대담하는 한양디 이희수교수의 대담내용을 요약한것이다  2014 3월 13일 방송을 듣고서 

 

아랍문화를 전공한 이희수교수를  알게된 동기는

미국이 이락을 침공한 그해에   우리의 방송국들이  아랍을 알기위하여  인터뷔하는데

거이  이교수가 나와서 대답한것이었는데

모든 방송국뉴스에서 이락은 나쁜쪽으로만 이해하도록 햇지만 에서

이교수께서는  아랍권의 역사적 문화적 또한 관계적 모든면에서  뉴스와 달리

진정으로 바로 볼수 있도록 강조하신것으로 기억돼서  참 존경해왔던거였다